빈 속에 진통제 먹어도 될까?

위장 약한 한국인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한국인 10명 중 1명은 위염을 앓고 있습니다(2008~2012년).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만큼 위장장애에 취약한데요. 특히 60~70대와 20대 여성의 위염 유병률이 높은 편입니다. 젊은 여성의 위염 유병률이 높은 이유로는 불규칙한 식습관, 무리한 다이어트, 사회생활에서 받은 정신적 스트레스 급증 등이 꼽힙니다. 전문가들은 위장이 약하거나 평소 스트레스 등으로 위장 장애를 겪고 있다면, 진통제처럼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약도 되도록 위장에 안전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진통제 종류는 수도 없이 많은데, 과연 어떤 진통제가 위장에 안전한 걸까요?

위장에는 해열진통제가 비교적 안전하다

진통제는 크게 해열진통제와 소염진통제로 나뉩니다.

이 중에서 소염진통제는 말초신경에 있는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통증 전달 물질을 차단하는데, 이 통증 전달 물질은 위벽을 보호하는 기능도 담당하기 때문에 이를 차단해버리면 위벽 보호층이 얇아지며 위점막이 손상될 수 있는데요. 최근 건강보험공단에서 위염 예방법으로 소염진통제의 남용을 자제하라고 소개한 것도 이러한 이유입니다. 또한, 소염진통제의 사용설명서에는 공복에 복용하지 말라는 주의사항이 쓰여 있습니다. 반대로 아세트아미노펜 같은 해열진통제는 위장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진통제, 위장에 안전하게 복용하려면?

진통제는 무조건 식후 30분 후에 복용해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상식입니다. 진통제 복용시간 또한 성분에 따라 다른데요. 일례로,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타이레놀은 위장 부담이 적어 하루 중 아무 때나,
공복에도 복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염진통제는 공복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소염진통제가 위장에 미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식후 30분에, 미지근한 물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염진통제 복용 후 속 쓰림을 경험한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전문가와 상의해 위장 보호약을 함께 처방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약 성분에 따라 복용 방법이 다르니 약은 반드시 사용설명서와 함께 보관하고, 복용 전 이를 확인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화여자대학교 약학과 이병구 교수(한국임상약학회 회장)는 “소염작용이 필요 없는 통증이나 통증 없이 열만 있는 경우라면, 위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아세트아미노펜 단일 성분의 해열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이 위장 보호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17-015)

제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세요.

우리 아이에게 맞는 해열제 용량을 확인해 보세요.